이야기주머니
[이종근의 행복산책]자존심
어떤 천재 호랑이 한마리가 있는데요, 항상 먼 하늘을 쳐다보고, 몸은 깡마르고, 먹이를 먹더라도 1시간 뒤에 잠시 잠을 자는 특징이 있습니다.
천재 호랑이를 사냥하는 방법은 호랑이가 잠시 잠들었을 때, 호랑이의 코앞으로 코피 묻은 휴지를 돌멩이로 싸서 던집니다. 호랑이는 피 냄새를 맡고 일어나 눈앞의 피 묻은 휴지를 분석합니다.
‘아니! 이것은 인간의 죽은피가 아닌가? 내가 깡말랐다고 누가 동정어린 짓을 했구나. 그렇다면 피가 아니라 고기를 보내야지. 백수의 왕인 나에게 죽은피를 먹으라고 하다니.’ 이렇게 자존심이 상한 호랑이는 고민하다가, ‘인간에게 이런 수모를 당하느니 차라리 깨끗하게 죽자’ 하고는 벼랑으로 떨어집니다.
호랑이 우화는 지나친 자존심 때문에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좌절하고, 생을 포기하는 인간을 꼬집고 있습니다.
신흠의 '동천년노항장곡'이란 시입니다.
'오동은 천년을 묵어도 자기 곡조를 간직하고(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매화는 일생을 추워도 자기향을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변치않고(月到千虧餘本質. 월도천휴여본질),
버드나무 가지는 백번 꺽여도 새 가지가 돋는다. (柳經百別又新枝. 유경백별우신지)
자존심이란 뭘까요?
적은 것을 얻으려 하면 나를 잃을 수 있고, 나를 버리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내 잘못을 깨달으면, 지혜로움이 생기고. 남의 잘못을 탓하면, 세상이 어두워 보입니다.
그래서 종종 진정한 자존심은 나를 지키는 것이 아니고, 내 사람을 지키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존심을 지켜라.'는 말도 있지만,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존심을 버려라'는 말도 있어 자존심을 지켜야 할 때와 버려야 할 때를 구분해야 되겠지만 정말 쉽진 않아 보입니다.
누군가가 말합니다.
자존심은 자신을 불행하게 하고, 죄를 짓게 하는 마음으로 행복에 이르고자 한다면 이를 버려라구요.
'자존심을 스스로 짓밟아라. 자신을 개똥으로 여겨라. 그럴 때에 기쁨과 웃음이 찾아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말합니다. 진정한 자존심은 나를 버려야 완성되는 것이라구요.
자존심 지켜야 할까요?
자존심 버려야 할까요?
천재 호랑이를 사냥하는 방법은 호랑이가 잠시 잠들었을 때, 호랑이의 코앞으로 코피 묻은 휴지를 돌멩이로 싸서 던집니다. 호랑이는 피 냄새를 맡고 일어나 눈앞의 피 묻은 휴지를 분석합니다.
‘아니! 이것은 인간의 죽은피가 아닌가? 내가 깡말랐다고 누가 동정어린 짓을 했구나. 그렇다면 피가 아니라 고기를 보내야지. 백수의 왕인 나에게 죽은피를 먹으라고 하다니.’ 이렇게 자존심이 상한 호랑이는 고민하다가, ‘인간에게 이런 수모를 당하느니 차라리 깨끗하게 죽자’ 하고는 벼랑으로 떨어집니다.
호랑이 우화는 지나친 자존심 때문에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좌절하고, 생을 포기하는 인간을 꼬집고 있습니다.
신흠의 '동천년노항장곡'이란 시입니다.
'오동은 천년을 묵어도 자기 곡조를 간직하고(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매화는 일생을 추워도 자기향을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변치않고(月到千虧餘本質. 월도천휴여본질),
버드나무 가지는 백번 꺽여도 새 가지가 돋는다. (柳經百別又新枝. 유경백별우신지)
자존심이란 뭘까요?
적은 것을 얻으려 하면 나를 잃을 수 있고, 나를 버리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내 잘못을 깨달으면, 지혜로움이 생기고. 남의 잘못을 탓하면, 세상이 어두워 보입니다.
그래서 종종 진정한 자존심은 나를 지키는 것이 아니고, 내 사람을 지키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존심을 지켜라.'는 말도 있지만,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존심을 버려라'는 말도 있어 자존심을 지켜야 할 때와 버려야 할 때를 구분해야 되겠지만 정말 쉽진 않아 보입니다.
누군가가 말합니다.
자존심은 자신을 불행하게 하고, 죄를 짓게 하는 마음으로 행복에 이르고자 한다면 이를 버려라구요.
'자존심을 스스로 짓밟아라. 자신을 개똥으로 여겨라. 그럴 때에 기쁨과 웃음이 찾아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말합니다. 진정한 자존심은 나를 버려야 완성되는 것이라구요.
자존심 지켜야 할까요?
자존심 버려야 할까요?
- 이전글 [이종근의 인문기행]2002년 군산 앞바다서 발견된 ‘SELTERS(젤터스)’ 인장 병의 비밀 21.03.22
- 다음글 [이종근의 인문기행] 왜 순창의 지붕엔 새 2마리가 앉아있나요 21.03.16
이슈라인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이 없습니다.
자료실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