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에서 둠벙이 제일 많은 곳이 고창으로 나타났다.
전북에 1,287곳이 있는 가운데 고창은 184개소였다. 전북농업기술원은 전북 농업생태계 공익적 가치 구현 및 디지털농업 구축의 일환으로 ‘전북 농경지내 둠벙 현황’ 책자를 발간했다. 인공위성 지도를 이용, 2년 동안 전북 도내 14개 시·군 농경지내 둠벙을 조사하여 1,287개소의 둠벙 소재를 확인했다. 100개 이상 둠벙이 분포된 시·군은 고창군(284개소), 부안군(196), 남원시(187), 김제시(177), 순창군(100)이었다. 이에 둠벙의 전북문화사를 살펴본다.
둠벙은 빗물에 의존해 농사를 짓던 시절,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농경지의 가장자리에 조성하고 이용하던 물 저장고이다. 대부분 크기가 1,000㎡ 이하로 농어촌공사 및 관공서 등에서 관리하는 저수지보다 작은 것을 일컫는다. 최근들어 기후변화로 인하여 물 부족과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둠벙의 물 저장 능력과 생물다양성 보고 역할을 수행함이 알려지면서 농업농촌의 중요한 환경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둠벙은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어 조성, 복원 및 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반면, 둠벙 분포 현황 등 기초자료가 부족하다.
고창군 부안면 수앙리는 수강산 가운데 있는 마을이라 수앙(水央)이라 했다. 반룡과 용현 사이 큰길 옆에 고려장이 많이 행해졌던 고려장등이라는 산등성이가 있는데 새로 막은 둑 안쪽에 있어 새언안등이라고도 한다. 이밖에 반룡 서남쪽 끝에 꼬지기, 반룡 뒤에 밀양박씨의 선산인 선산등, 반룡 서쪽에 안씨의 정자가 있었다는 안진개(일명 안정자) 등의 산등성이가 있다. 꼬지기 동남쪽에 둠벙이 있는 둡벙배미, 용현 서북쪽에 모농골 등의 논이 있고, 웃뜸 남서쪽에는 감투 모양의 감투바우가 서 있다.
고창군 성내면 대흥리 개비골엔 개 무덤 비석과 관련,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언젠가부터 대흥리 가비동을 개비골로도 부르는데, 개의 무덤 비석(犬碑)이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그렇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옛날 대흥리 가비동에 큰 부자가 살았다. 어느 날 큰 부자는 흥덕장에서 친구와 어울려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술을 마셨다. 해가 질 무렵에야 귀갓길을 서둘렀던 큰 부자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집 앞을 지나 논둑을 둘러보던 중 그만 쓰러져 잠이 들고 말았다. 그런데 그때 동네에서 아이들이 불장난을 하다가 불이 논둑에 옮겨 붙어 큰 부자가 위태롭게 되었다. 마침 ‘주황’이라고 부르는 큰 부잣집네 개가 주인이 쓰러져 있는 것을 보고 옆 둠벙에서 몸을 적셔 번지는 불을 끄기를 수십 번. 드디어 불은 꺼졌지만 결국 개는 지쳐서 죽고 말았다. 잠에서 깨어난 큰 부자는 개 주황이 자기를 구하다 죽은 것을 알고 몹시 슬퍼하며 충성스런 주황이를 묻어 주고 그 자리에 비석을 세웠다. 이후 마을에 개를 기리는 비석이 있다고 하여 사람들이 ‘개비골’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고창엔 기자의례(祈子儀禮)가 있다. 기자 의례는 아들을 낳지 못한 부인이나 집안에서 이를 기원하는 습속이다. 이를 ‘기자 풍속’, ‘기자 신앙’이라고도 한다. 자식 얻기를 기원하는 주체자의 행위에 따라 치성 기자(致誠祈子), 주술 기자(呪術祈子), 주물 기자(呪物祈子)로 분류할 수 있다. 심원면 주산리 죽곡마을 큰 재 밑에 둠벙이 하나 있었는데, 그곳에 가서 빌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한다. 유왕(용왕)과 산신에게 아들을 점지해 달라고 빈다. 공들이러 가려면 7일 전부터 궂은 음식 안 먹고 궂은 데 가지 않고 궂은 것도 안 보고 목욕재계한 후 새벽에 아무도 없을 때 산으로 올라간다. 이때 왼새끼로 연결한 물병 2개를 목에 두르고 가서 샘물을 담아 와서 마신다. 샘에 도착하면 우선 샘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이끼와 개구리 같은 것들이 없도록 샘물을 모두 품어낸 다음 새물이 고이면 가지고 간 양초와 음식을 샘 앞에 놓고 비손한다. 마을의 한 아주머니는 섣달 그믐에 떡시루와 밥, 국을 가지고 이 샘에서 공을 들이고 돌아와서 돼지 4마리를 잡는 꿈을 꾸고 아들 4형제를 낳았다고 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장성할 때까지 샘에 가서 감사 치성을 드리다가 나이 먹어 산을 오를 수 없게 되어서야 가지 않았다고 한다. 이 샘은 상수도가 공급된 이후 오랜 기간 사람이 다니지 않아 풀이 무성해 지금은 샘으로 가는 길을 찾을 수도 없다고 한다.
율곡 방축(栗谷防築)은 지금의 순창군 구림면 운북리에 있던 방죽이다. 순창군 읍지는 ‘율곡 방축 둘레가 392척이며 군의 북쪽 30리에 있다(栗谷防築 周回三百九十二尺 在北三十里)’라고 했으며, ‘옥천군지’에는 “군의 북쪽 20리에 있으며, 무림방(茂林坊)에 있고, 둘레는 392척, 깊이는 3장(栗谷防築 在北二十里 茂林坊 周回三百九十二尺 深三丈)‘이라고 햇다. 하지만 1872년에 작성된 ‘순창군지도’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율북리는 지금의 구림면 운북리(雲北里)에 해당한다. 운북리에는 현재 방죽은 없고, 물방아 둠벙과 실껏 둠벙이 있다. 순창군 구림면 운남리(雲南里)에는 골짜기가 아주 많다. 연산절골, 고름장골, 초빙골, 배암골, 산제당골, 성낭골, 자래둠벙 등이 있다. 마을 남쪽에는 장군이 진을 친 곳을 말하는 것으로 장군(將軍) 형상의 상대성 지명인 둔터골도 있다. 이외에 개골, 도깨비 둠벙도 있다.
김제엔 아직도 용두레를 볼 수 있다. 이는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의 논이나 밭으로 퍼 올리는 데 쓰는 농기구다. 무게는 7㎏ 내외이다. 흔히 논 한 귀퉁이에는 가뭄에 대비한 구덩이를 파고 물을 가두어 두는 둠벙이 있다. 이 둠벙의 물은 어느 정도까지 용두레로 푸고, 나머지는 맞두레를 이용해 퍼낸다. 용두레에는 보통 36ℓ 정도의 물이 실린다. 두세 사람이 교대하면서 푸면 하루에 1,000석(石) 정도 옮길 수 있다. 용두레는 전라도에서는 ‘통두레’라고도 하며, 파래·품개·풍개로 부르는 곳도 있다. 사용할 때는 기둥 3개를 원뿔형으로 세우고, 그 꼭대기에 용두레 끈을 매어 앞뒤로 움직이면서 물을 푼다. 나무통 윗부분에는 담은 물이 넘치지 않도록 가로로 군데군데 나무 조각을 댄다. 지름 40㎝, 길이 80㎝ 정도의 통나무를 배 모양으로 길게 파낸 뒤 중앙부에 양쪽으로 가는 구멍을 뚫어 막대를 가로질러 끼운 다음 끈을 묶어 만든다. 몸통 끝에는 손잡이가 달려서 이것을 쥐고 앞뒤로 흔들며 물을 퍼 올린다. 통나무가 귀한 곳에서는 쪽나무로 직사각형의 통을 짜고 바닥에 긴 자루를 달았다. 줄의 길이는 지형에 따라 조정한다.<사진 전북도농업기술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