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야기주머니
 

[이종근의 행복산책] 구멍 손잡이


택배상자에 드디어 구멍이 뚫렸다. 무거운 상자 양쪽에 손잡이로 쓸 구멍이라도 뚫어달라고, 택배 및 마트 노동자들이 정부에 요구한 지 1년 만이다. 노동현장의 소박한 요구에 해결을 약속한 것은 고용노동부 장관이었지만, 첫 적용은 집배원들이 운반하는 우체국 택배상자부터다.

구멍 손잡이 소포상자는 비대면 경제활동으로 택배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집배원, 택배기사, 분류작업자 등 관련 업종 노동자들의 고충을 덜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우체국에서 쓰는 7kg 넘는 화물용 소포 상자에 구멍 손잡이를 만들어 택배 노동자의 업무 강도를 낮출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정사업본부는 23일부터 구멍 손잡이가 있는 우체국 소포 상자를 판매한다. 현재 우체국에서 판매하는 소포 상자는 총 6가지로, 구멍 손잡이는 7kg이 넘는 고중량 화물용 상자인 ‘5호 소포 상자’에 만들었다. 재질도 강화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해도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강했다. 소포는 접수에서 배달까지 평균 10번 정도 작업이 이뤄진다. 무거운 상자는 들기가 어렵고 장갑을 끼고 옮기면 미끄러지기도 해 작업이 어려웠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가 발표한 ‘마트 노동자 근골격계 질환 실태조사’에 따르면 상자에 손잡이를 만들면 화물 하중의 10%를 줄일 수 있다.

구멍 손잡이가 있는 소포 상자는 수요가 많은 수도권과 강원지역 우체국에서 먼저 판매하며, 내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금도 일반상자에 담겨 배달되는 물건이 우체국 택배의 절반 이상이다. 더구나 민간 택배회사는 손잡이 상자를 기대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아예 생산 단계부터 모든 택배 상자에 손잡이를 규격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는 이유다. 수년간의 요구 끝에 겨우 도입된 택배 상자 손잡이, 제작비용 지원 등 정부와 업계 간의 추가적인 논의가 시급해 보인다.

회원로그인

이슈라인

곽병선 전북지역공동(추)…

지난 3월 7일 서울중앙…

임창현 03-12

전북의 아이들은 행복하지…

이틀 뒤인 3월 4일, …

임창현 03-02

학생 제지·분리 법제화,…

학생 인권 및 교육단체들…

임창현 02-21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이 없습니다.

자료실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