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야기주머니
 

[이종근의 행복산책]장수 비행기재


집중호우로 유실되었던 장수군 비행기재(위임국도 13호선, 장수군 산서면 오성리 산1-6번지 일원)가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임시 개통됐다. 전북도에 따르면 비행기재는 지난 7월 12일과 13일 연이은 집중호우로 1차선 30m가량이 유실됐다. 이에 따라 도는 안전 확보를 위해 지난 7월 25일부터 전면 통제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지방도 751호선(마치재)를 우회도로로 이용했지만, 도로 선형의 굴곡이 심하고 경사가 급해 겨울기간 동안 도로결빙 등 교통사고가 우려돼 위임국도 13호선 임시개통을 추진하게 됐다.
장수군은 유독 말 관련 지명이 많다. 두산리 뒤 마봉산(馬峯山)은 원래 말산(馬山)으로 불렸으나 세월의 흐름을 따라 말(馬)과 말(斗)의 동음이의적 특성 때문에 두산(斗山)으로 와전되었다고 전해진다. 마봉산은 말이 산 위를 달리는 모습과 같다고 해서 명명됐고, 장수군 산서면의 마하리는 인근 마하치(馬下峙)재 아래 있는 마을이라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산서면 쌍계리 매암마을은 원래 ‘마음수(馬飮水)’라고 불렀다고 한다. 목마른 말이 물은 마시는 형국의 명당이라 하여‘갈마음수(渴馬飮水))’라 불렀다. 매암마을의 윗마을을 마평(馬坪)이라 하며, 산서에서 번암으로 넘어가는 재를 말치(馬峙)재라 했다. 또한 매암수의 주변에 '사실정','구수골','채들'등 말과 관계되는 이름들이 지명으로 붙어있다. 산서면 마하리는 원흥마을과 평촌마을을 통틀어 부르는 행정구역상의 이름이다. 지금은 장수읍 대성리에서 산서로 넘어가는 도로(재)를 비행기재(해발530m)라고 하지만 옛날에는 마하치(馬下峙)재라고 불렀다. 상기 마을은 마하치의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마하리란 동명이 부쳐졌다고 한다. 팔공산 원수봉에서 원흥앞 건지산 일대에 달리는 말이 도적을 쫓는 형국의 명당이 있다고 한다.

이번 개통으로 장수읍과 산서면을 이동하던 주민들은 우회도로인 마치재(지방도 751호)를 이용하면 35분가량 소요되던 이동 시간을 10분 단축한 25분 내 왕래할 수 있게 됐다. 비행기재가 ‘사진찍기 좋은 녹색명소’로 탄생했다. 장수읍에서 대성리 지나 산서면을 잇는 국도변에 비행기재가 위치해 있으며 탁 트인 조망으로 분지와 평야 산등성이가 펼쳐지는 아름다운 산촌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에 임시개통되는 도로가 아스콘 포장까지 시공이 끝나지 않아 통행 시 서행 등 운전자의 주의가 특별히 요구된다. 전북도는 장수군과 장수경찰서와 비상체계를 구축, 신속한 제설작업 및 겨울철 사고 예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모두모두 비행기재를 지나면서 멋진 삶을 비행하기 바란다.

회원로그인

이슈라인

곽병선 전북지역공동(추)…

지난 3월 7일 서울중앙…

임창현 03-12

전북의 아이들은 행복하지…

이틀 뒤인 3월 4일, …

임창현 03-02

학생 제지·분리 법제화,…

학생 인권 및 교육단체들…

임창현 02-21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이 없습니다.

자료실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