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7일 순창 섬진강가 장군목 바위에 새겨진 글을 찾으러 왔다. 이곳에는 '요산요수'와 '종호' 라는 글씨가 바위에 새겨있다.
'요산요수' 는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치를 좋아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논어에서 유래되었답니다. 글씨는 남곡 김기욱이 썼다
짙푸른 강줄기를 바짝 끼고 숫돌바위와 육로정을 지나면 섬진강 최고의 풍광을 자랑하는 순창 장군목이다. 장군목 못 미처 무량산을 등지고 강변에 터를 잡은 육로정도 멋스럽다.
'종호(鍾湖)' 라는 글씨가 새겨진 거대한 바위를 거느리고 있는 정자는 조선 현종 때 인물 양운거가 자연을 벗삼아 풍류를 즐겼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육로정(六老亭)이라니! 필시 그 뒤에 무슨 이야기가 있을 것만 같은 이름이다.
조선시대 문인인 초로(楚老) 양운거(1613~1672)가 지었다는 정자.
그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강호에 들어 자연과 풍류를 즐겼습니다. 그와 함께 노닐었던 여섯 명이 있었다고 해서 이들을 여섯 노선(老仙)이라 불렀다.
'종호'는 '시객들의 흥겨운 노랫소리가 종소리처럼 메아리친다'는 뜻이다. 건립 연대는 광무(光戊) 정유(丁酉) 2월로 나와 1987년 2월로 보인다. 양운거는 이 바위에 구멍을 파고 술을 담아 마셨다고 전해진다. 우리네 삶이 흥겨운 종소리처럼 은은히 메아리 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