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근의 행복산책]귀양인가요, 귀향인가요
다산 정약용은 긴 유배생활을 통해 명저 『목민심서』를 비롯한 5백여권의 저술을 남겼습니다.
다산은 잘 알려져 있듯이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습니다. 유배 기간 중 다산초당이라는 조그만 집에 기거하면서 학문에 전념하였지요.
그 결과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저술이 바로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신서(欽欽新書), 경세유표(經世遺表)입니다. 유배 중에 이처럼 위대한 저술을 완성하였기에 어떤 이들은 다산이 유배생활을 그렇게 오래 하지 않았으면 과연 그와 같은 저술을 남겼겠는가? 라고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맞는 말입니다.
다산은 유배지에서의 생활이 오히려 그로 하여금 이 같은 대작을 남기게 한 것입니다.
추사 김정희는 13년간의 유배생활속에서 유명한 『세한도』를 그렸고 추사체를 완성했습니다.
국문학사의 가장 우뚝한 봉우리 고산 윤선도 또한 17년간의 유배생활과 30여년의 귀향생활을 통해 『어부사시사』『산중신곡』등 주옥같은 글을 남겼습니다.
교산 허균도 역시 유배지에서 『홍길동전』을 비롯한 여러 시문을 썼습니다.
유배는 관직을 박탈당하고 귀양살이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원래 「귀양」은 형벌이 아닌 「귀향」이었습니다. 관직에 있던 사람이 벼슬을 마다하고 향리나 전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벼슬을 그만두는 이유는
신병인 경우도 있고 관운이 좋지 못해 벼슬을 잃는 삭직의 경우도 있지만 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기 싫어 스스로 낙향하는 경우도 적지않았습니다.
이같은 향리방축의 뜻으로 쓰이던 「귀향」이 어느새 「귀양」으로 바뀌면서 조선조후기에는 도배·유배·정배란 용어까지 생기고 점점 형벌의 뜻을 지니게 되었습다.물론 고향으로 유배보내는 향배란 말까지 있었습니다.
요즘들어 현대인들은 숲이나 섬을 찾아 자발적 ‘유배’에 나섭니다. 속도 만능의 시대에 ‘쉼’과 ‘자기 성찰’이 필요한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