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야기주머니
 

[이종근의 행복산책] 어쩌면 당신의 구덩이가 거의 채워졌을 지도 모릅니다


'盈科而後進(영과이후진)'은 구멍을 가득 채운 뒤에 나간다는 뜻으로, 물이 흐를 때는 조금이라도 오목한 데가 있으면 우선 그곳을 가득 채우고 아래로 흘러간다는 말입니다. 곧 사람의 배움의 길도 속성(速成)으로 하려 하지말고 차근차근 닦아 나가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는 이종근이 제일 좋아하는 글귀입니다.

물이 인간에게 주는 교훈은 적잖습니다. 서자(徐子)라는 인물이 맹자에게 공자가 평소 물을 칭송했던 이유에 대해 물었습니다. 그러자 맹자는 공자에게 있어 물은 지혜의 상징이었다며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근원이 깊은 샘물은 밤낮을 쉬지 않고 흘러 흙구덩이를 채우고 난 다음에야 바다에 이른다. 지혜란 바로 이런 것이기 때문에 물을 칭송했던 것이다(原泉混混 不舍晝夜 盈科而後進 放乎四海 有本者如是 是之取爾)”

이는 맹자(孟子)》 <이루 하(離婁 下)>에 나옵니다.

‘물의 덕성’에 관해선 노자의 가르침이 압권입니다. 노자는 공자와 동시대 인물이지만 조금 앞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천하에 물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없지만 굳세고 강한 것을 공략하는 데는 그보다 나은 것이 없으니 그 성질을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莫之能勝也 以其无以易之也)”며 “부드러움이 굳셈을 이기고 약함이 강함을 이긴다(柔之勝剛 弱之勝强)”고

강조했습니다. 전한 때 학자 하상공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동그란 곳에 있으면 동그래지고 네모난 곳에 있으면 네모가 되며, 막으면 멈추고 터주면 흘러간다. 그런데도 물은 산을 품고 언덕을 오를 수 있으니 철을 갈고 동을 녹이는 데 물보다 더 뛰어난 공을 이룰 것이 없다”

'상선약수(上善若水)란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말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잘 이롭게 하고도 그 공을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곳에 있다.
따라서 거의 도에 가깝다.
몸은 낮은 곳에 두고, 마음은 깊은 곳에 두며,
베풂은 인(仁)에 맞게 하고,
말은 신의가 있게 한다.
정사(政事)는 자연스러운 다스림에 맞게 하고,일은 능률적으로 하며,
행동은 때에 맞게 한다.
대저 오직 그 공을 다투지 않으므로 허물이 없느니라'

높은 선, 다시 말해 노자의 도(道)는 물과 같지 않나요. 물은 형체가 없습니다. 어떤 그릇에 담느냐에 따라서 그 모양이 변합니다. 한 가지로 고정되고 경직된 모습이 아닙니다. 이렇게 저렇게 마음대로 모습을 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은 위에서 아래로만 흐릅니다. 억지로 그 흐름을 거스르려 하지 않습니다. 세상 흐름에 자연스럽게 몸을 맡기는 것처럼 아래로만 흐릅니다.
이처럼 억지로 자신의 모습을 규정하지 않고 억지로 자신의 흐름을 거스르려 하지 않는 물의 속성 같은 게 노자의 도입니다.

다시 말해 꼬불꼬불하고 좁은 길이 있습니다. 버스는 그 길을 갈 수가 없습니다. 버스는 네모나고 긴 자신만의 형체가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물은 아무리 좁고 꼬불꼬불한 길이라고 해도 어디든 흐릅니다. 그런 모습을 노자는 도의 모습이라고 본 것이다. 정해져 있지 않은 자연스러움입니다.

사실 역류가 아닌 순리대로 사는 삶이란 행복의 지름길입니다. 준비하고 노력은 하되, 만사 괜한 욕심만 부린다고 되는 게 아닌 게 살입니다.
이렇듯 물은 여러 교훈을 주기에 ‘손자병법’에서도

“군대의 움직임을 물의 모양과 같이 하라(兵形象水)”

고 권면했던 것입니다. 전투와 전쟁에 이기기 위해선 동일한 전술전략을 구사하지 말라는 충고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늘 무언가를 배웁니다. 배우다보면 늘 ‘구덩이[科]’를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구덩이의 크기와 깊이는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입니다. 어떤 이의 구덩이는 얕고 작을 수 있으며, 어떤 이의 구덩이는 무척 깊고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마다 구덩이를 만났을 때 구덩이를 채우는 시간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구덩이 크기에 따라 채우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늘 남과 비교하게 되고, 쉽게 포기합니다.

나는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된다고. 어쩌면 구덩이를 거의 다 채우고 있는데도 자신이 가진 구덩이에 대해 잘 몰라서 포기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자신의 구덩이가 얼마만한 크기인지를 알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오늘따라 소크라테스가 말한 ‘너 자신을 알라(그리스어: γνῶθι σεαυτόν 그노티 세아우톤)'는 말이 떠오릅니다.

샘이 깊은 물은 끝없이 용솟음칩니다. 이를 일러 도래샘이라고 합니다. 그러기에 밤낮을 쉬지 않고 흐를 수 있습니다. 흐르다 웅덩이에 갇히면 그 웅덩이를 가득 채우고 다시 흐릅니다. 그리하여 사해까지 멀리 흘러 갈 수 있습니다.

어쩌면 당신 자신의 구덩이 깊이와 크기를 살펴보고, 힘을 내기 바랍니다. 어쩌면 구덩이가 거의 채워졌을 지도 모릅니다.

회원로그인

이슈라인

곽병선 전북지역공동(추)…

지난 3월 7일 서울중앙…

임창현 03-12

전북의 아이들은 행복하지…

이틀 뒤인 3월 4일, …

임창현 03-02

학생 제지·분리 법제화,…

학생 인권 및 교육단체들…

임창현 02-21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이 없습니다.

자료실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