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야기주머니
 

[이종근의 행복산책] 어깨에 힘을 잠시 빼면 진정 최고가 됩니다


'망지사목계(望之似木鷄) 기덕전(其德全)’이란 말이 있습니다. “보기에는 마치 나무로 만든 닭과 같으나 그 덕이 완전하다”는 장자가 말한 목계지덕(木鷄之德)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통제할 줄 알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빛나는 광채나 매서운 눈초리를 보여주지 않더라도 상대방으로 하여금 무언가 근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을 장자는 ‘목계지덕(木鷄之德)’을 가졌다고 합니다. ‘목계(木鷄)’란 ‘나무로 만든 닭’이란 뜻입니다. 나무로 만든 닭처럼 완전히 감정을 제어할 줄 아는 사람의 능력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이야기는 장자 <달생(達生)> 편에 나옵니다.

어느 왕이 투계를 몹시 좋아하여 기성자(紀渻子)란 사람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구해 최고의 투계로 만들기 위한 훈련을 맡겼습니다. 기성자는 당시 최고의 투계 사육사였습니다. 맡긴지 십 일이 지나고 나서 왕이 사육사에게 물었습니다. 닭이 싸우기에 충분한가? 사육사는 이렇게 대답하였죠. “아닙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아직 자신이 최고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 교만을 떨치지 않는 한 최고의 투계라 할 수 없습니다.” 십 일이 지나 왕이 또 물었을 때 사육사는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이 소리와 그림자에도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진중함이 있어야 최고라 할 수 있습니다.” 십 일이 지나 왕이 또 묻자 그는 “아직 멀었습니다. 조급함을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그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십 일이 지나고 또 묻자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이제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질러도 아무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이제 완전히 마음의 평형을 찾았습니다. 나무와 같은 목계(木鷄)가 되었습니다. 닭의 덕이 완전해 졌기에 어느 닭이라도 그 모습만 봐도 도망갈 것입니다.”

장자의 고사에서 말하는 최고의 투계는 목계입니다.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리고, 남의 소리와 위협에 쉽게 반응하지 않으며,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린 목계와 같은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강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어깨에 힘을 잠시 빼면 진정 최고가 됩니다.

힘을 빼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힘을 주는 겁니다. 힘을 주지 않고 힘을 뺄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입니다. 무엇을 배우거나 세상을 살아갈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힘껏 살지 않고서 힘을 뺄 수는 없습니다. 힘이 드는 것은 힘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힘이 들어야 힘을 뺄 수가 있습니다. 집착을 없애려면 집착이 있었어야 합니다.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입니다.

세상을 사는 것도 비슷한 것 같습니다. 힘든 삶일수록 더 스스로에게 힘을 주었으면 합니다. 특히 어깨에 힘을 주었으면 합니다. 어깨에 힘을 주는 것은 자신감을 의미합니다. 목에 힘을 주는 것과는 다릅니다. 어깨에 힘을 주고 힘이 들더라도 앞을 향해 나가는 겁니다. 그렇게 자신감을 갖고 자신을 귀하게 여기고 나서 서서히 힘을 빼는 겁니다.

힘을 빼고 옆을 봐야 합니다. 힘을 빼고 나면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것이 보일 겁니다. 늘 힘만 주고 살고 있다면, 반대로 늘 힘이 빠져 살고 있다면 힘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잘못 힘을 주고 빼면 힘만 들어갑니다. 그야말로 힘든 겁니다.

어깨에 힘을 잠시 빼면 진정 최고가 됩니다.



빠른 답장을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회원로그인

이슈라인

곽병선 전북지역공동(추)…

지난 3월 7일 서울중앙…

임창현 03-12

전북의 아이들은 행복하지…

이틀 뒤인 3월 4일, …

임창현 03-02

학생 제지·분리 법제화,…

학생 인권 및 교육단체들…

임창현 02-21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이 없습니다.

자료실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