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전주박물관은 15일부터 8월 29일까지 테마전 '전북의 새로운 보물, 고창 봉덕리 유적 출토 금동장식신발'을 갖는다. 소장품이 새롭게 보물(제 2124호)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는 자리다.
고창 봉덕리 고분 유적은 삼국시대 무덤으로 1998년 지방도로 확장 공사를 진행하던 중 발견됐다. 이 가운데 4호 구덩식(竪穴式) 돌방무덤에서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금동장식신발을 비롯, 중국제 청자, 작은 단지로 장식한 구멍 항아리, 청동잔과 잔받침, 큰칼, 금귀걸이 등이 도굴되지 않은 채 고스란히 출토됐다.
금동신발은 삼국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금속공예품이다. 살아있을 때 신었던 것이 아니라, 장례 때 망자(亡者)의 발에 신기는 의례용으로 추정된다. 화려하게 장식한 용, 사람, 연꽃무늬에는 망자의 넋이 하늘로 올라가 영생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겼다는 것이다.
무덤 주인공의 양쪽 발에 신겨진 신발 한 쌍이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발견됐다. 길이 32㎝로 바닥과 측면에 용, 인면조, 사연꽃 등 각종 문양을 투조(透彫·뚫어 만듦)로 장식했다. 백제 왕실이 왕의 힘을 과시하면서 지방 유력자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해 하사한 위세품(威勢品)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시기의 중국 유적에선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는 여럿 출토됐으나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물들은 당시 고창지역에 있었던 정치 세력의 위상과 함께 백제 중앙 세력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금동장식신발은 삼국시대 장례 풍습을 잘 보여주는 껴묻거리(副葬品) 중 하나이다. 또 당시 금속공예 기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세밀하고 정교하게 제작됐다. 고창 봉덕리에서 출토된 금동장식신발은 옆면을 거북이 등껍질 문양으로 나누고, 그 안에 용과 새, 사람 얼굴 모양을 새겼다.
그리고 바닥면에는 용을 정교하게 투조(透彫)하여 당시 백제의 뛰어난 금속공예 수준을 보여준다. 한편 에다후나야마 고분(江田船山古墳)이나 카모이나리야마 고분(鴨稻荷山古墳) 등 6세기 대의 일본 고분에서도 비슷한 금동장식신발이 출토되어 당시 정치적으로 밀접했던 백제와 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홍진근 국립전주박물관장은 “이번 기회에 박물관을 방문하셔서 새로운 전북의 보물 탄생을 같이 축하해 주시라”며, “고대 사람들의 수준 높은 공예기법과 미의식을 느껴보시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